수원육아종합지원센터 부모교육, 양육고민 3 -놀이

by 청동거울 posted Apr 14, 201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부모님들의 숙제! <놀아주기>입니다.

 

놀이란 즐거움을 목적으로 스스로 하는 활동을 말하며 더욱 좋은 놀이가 되기 위해서는 아이가 주도적으로 이끄는 것입니다. 또 하나 더하자면 정말 좋은 놀이란 누군가와 함께 정서를 나누는 것입니다. 특히나 그 누군가가 부모님이 된다면 정말 좋겠지요?

 

놀이가 중요한 이유는 놀이를 통해 신체발달과 인지언어발달 등과 같은 전반적인 발달을 이루어간다는 것과 더 중요한 사회성이 발달된다는 것입니다. 사회성은 부모와의 관계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므로 부모와의 놀이상호작용을 통한 정서적인 유대관계가 정말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놀이는 양보다 질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원하는 놀이를 짧은 시간이라도 아이와 눈을 맞추고 충분히 즐겁게 놀이를 하면 되고요, 질문 금지, 반응 많이를 꼭 기억하셔야 합니다. 놀이상황을 학습적으로 이용하시는 부모님들이 많으신데요, 이럴 경우 아이들은 놀이가 아니라 테스트를 당하는 듯해 스트레스를 받게 되고 결국 ‘엄마 아빠랑 노는건 재미없어.’라고 생각하게 되므로 주의하셔야 합니다. 아이의 의도나 생각을 몰라 궁금증이 생길 때는 질문을 해도 되지만 학습적인 자극을 위한 질문은 절대 삼가 해 주세요. 그리고 ‘와, 신난다. 재밌다. 같이 노니까 좋아.’등과 같은 놀이반응과 ‘하나, 둘, 셋, 출발’과 같은 놀이 시작 전에 부모님이 주는 ‘놀이신호’, 의성어와 의태어가 많은 말들을 많이 해주시면 더욱 놀이가 풍성해진답니다.

 

어릴 때는 부모님과 스킨쉽이 많은 놀이가 좋고요, 아이들이 유아기 후반이나 아동기에 접어들면 놀이감을 의미있게 사용하며 놀이를 하게 됩니다. 아이들이 놀다보면 늘 같은 놀이감만 가지고 놀 때가 있고 이에 대해 부정적으로 생각하시는 부모님들이 많으십니다. 하지만 괜찮습니다. 아이들은 충분히 놀게 되면 다른 놀이감으로 관심이 이동하게 되므로 충분히 놀 수 있도록 해 주세요. 창의력, 집중력은 반복되는 놀이 속에서 만들어진답니다.

 

그리고 놀이를 할 수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잠자는 시간이라 못 논다거나 비가 와서 밖에 나갈 수 없을 경우 아이들에게 놀이 거절을 해야합니다. 이럴 때는 ‘지금 놀고 싶구나.’라고 감정을 먼저 읽어주세요. 그런 후 ‘지금은 잘 시간이라 더 못 놀겠어.’라고 정확히 놀지 못하는 이유를 알려주세요. 그리고 마지막 ‘내일 어린이집 다녀와서 더 놀 수 있어.’라고 언제 놀 수 있는지 알려주어야 합니다. 아이들은 언제 놀 수 있는지에 대해 알게 되면 그 때 까지 기다릴 수 있답니다. 물론 처음부터 이렇게 대화가 편안하게 진행되는 것은 아닙니다. 부모가 약속을 잘 지킨다는 것을 아이들이 알게 되면 그 때부터 이와 같은 대화가 가능합니다. 아이들과의 약속 꼭 지켜주세요.^^


Articles

1 2